이번주는 주말 내리 출근이지만 이번주를 그냥 보낼 수 없어 자는 시간을 쪼개서 조립을 진행했습니다.^^
조립기 시작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FaiDu/btsKEjM6YdM/Au1zXIXvAdYuCIyWYkIi61/img.jpg)
제품 출시와 동시에 웹사이트에 pdf 포멧의 설명서도 같이 배포를 하고 있었지만,
역시 종이로 보면서 작업하는게 더 좋네요~
설명서를 깔고 조립을 시작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0kJZ/btsKCNhMVl3/FpULdTiOxrWIGeP3KDMGBk/img.jpg)
먼저 프론트 로워암 조립인데,
첫 페이지의 프론트 로워암 조립에서부터 이렇게 시간이 걸릴줄 몰랐습니다. ㅠㅠ
이전 RMX 시리즈들은 암들이 적당한 간격으로 조립되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아주 부드럽게 동작했었는데
FRX RS는 그대로 조립하면 너무 뻑뻑해서 부드러운 동작을 위해 드릴을 사용하여 서스핀 홀을 확장하고,
로워암 좌우 끝 부분을 사포로 갈아서 로워암의 좌우 폭을 살짝 줄여야 했습니다.
(간단히 서스핀 좌우로 꼽히는 스페이서를 줄여도 되었겠지만, 내경이 2.5mm의 스페이서를 가지고 있지 않아서 사포질로 진행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yCSX/btsKDrSOQi9/V5gJ7muP0TcF9lmF1ztZmk/img.jpg)
볼엔드를 추가하여 메인 섀시에 조립된 모습입니다.
프론트 차폭 확장을 위해 설명서의 3mm 스페이서에 추가로 4mm 스페이서를 더 넣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3QrM/btsKD4W7SM6/pmFz5VG4juOjFQkTO0OVQ0/img.jpg)
리어 로워암도 동일한 문제가 있어 드릴로 서스핀 홀을 확장하고, 양 면을 샌딩하여 로워암의 가로폭을 줄여 조립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6IasF/btsKCWZ7XnR/Nt8Ag5KpCQjeLRk50GhpgK/img.jpg)
스티어링 암은 RS 모델 답게 카본과 알루미늄의 조합으로 제공되어 유격없이 부드럽게 움직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QUf9/btsKDT2jVEo/kWuXga8Ki3odao7RgD2W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dgGt/btsKDyjTzOF/zQkadiEyKdQKuv98wRhAzK/img.jpg)
디퍼런셜 기어 조립시에는 기본으로 들어있는 동와샤 대신에 동일 규격의 베어링을 사용하였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RnMw/btsKCVtmCTC/x4FKYYpN6mLQdjNaJUanXk/img.jpg)
디퍼런셜 기어의 내부 기어들은 모두 메탈 재질입니다~
안쪽에는 동봉된 오일 대신 엑시드 하이 프로텍트 조인트 그리스를 바르고 조립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RULJ/btsKDqzFW1v/HfkEessbMZKZnKAk9sA6rK/img.jpg)
조립 완료된 디퍼런셜 기어 모습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fSAh9/btsKElYsgIF/yRtA0NC2kOVoKk4fMerQg1/img.jpg)
기어박스에 디퍼런셜 기어를 조립하려고 넣으니 좌우로 유격이 좀 있어서
베어링 사이에 기본 0.3mm 심에 추가로 좌우에 각 0.1mm 심을 추가하여 조립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8VOt/btsKCXxTxn9/4v8rORHUTt6qaqaPP8xW70/img.jpg)
디퍼런셜 기어와 드라이브 샤프트의 베벨기어에도 엑시드의 하이 프로젝트 조인트 그리스를 발라주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lBUU/btsKDUUsiAA/kENNGwKZEHSgJj5Z1stX4k/img.jpg)
테일 기어는 38T/19T 조합으로 조립하면서 역시 엑시드 하이 프로젝트 조인트 그리스를 바르고 조립했습니다.
테일기어 커버 안쪽에 꼽히는 베어링(빨간 원 표시 부분)은 사이즈를 주의해서 꼽아야 합니다. 혹시라도 외경은 같으나 내경이 다른 사이즈를 꼽게되면 빼기가 어렵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I4vq/btsKCYQQmwx/oSbseOsXanQQ56LoRiKIrK/img.jpg)
서보 마운트 시에는 Samix의 서보 콜라를 사용하였습니다.
기본 수지 서보 세이버는 옵션 제품의 판스프링 구조와 달리 코일 스프링 구조가라서 단순하고 조립이 간편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xQpvp/btsKDsxqZez/4IYRJfSjlPkl7ZhlrL5R51/img.jpg)
배터리 트레이의 조립된 모습입니다.
배터리를 밀어 넣고 뺄 때 부드럽게 동작하도록 트레이 위에 붙이는 테이프도 제공되고
![](https://blog.kakaocdn.net/dn/6z6bH/btsKCxzOayd/u1FjrSieBYWlxyAq6SrqT1/img.jpg)
설명서대로 조립했더니 사용중인 Gaoneng LCG 숏티 배터리와 사이즈가 딱 맞습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dxKi2g/btsKEswqPFP/vnCvR20Bj0je3bhxRpeLGK/img.jpg)
이후 섀시 부품들은 별 이슈가 없어서 설명서 대로 조립하면 됩니다.
아직 댐퍼는 조립하지 않았지만,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와 쇽캡만 레드 컬러라 좀 튈거 같습니다. ^^;
![](https://blog.kakaocdn.net/dn/bRX6lm/btsKCfMEV7j/P2Xp9P1iupFQ5FDa4jUmVk/tfile.png)
![](https://blog.kakaocdn.net/dn/kAUBZ/btsKBSD8pll/whHcPY6vkeDLWDOXfXgK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vmy5/btsKDsRImxz/NxOiqylY0JDFRDxLWSYMn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oPyQM/btsKEmbYNyw/fgzrKUht61KWrbN5kxKTK0/img.jpg)
메인섀시에 고정된 프론트 암들의 동작 확인 영상입니다.
리어 암들의 동작 확인 영상입니다.
추가로 스티어링 암의 동작 모습입니다.
p.s.
조립 후 심이 하나 남길래 디퍼런셜 기어에서 빠뜨린줄 알고 다시 열어보는데...
센터 드라이브 샤프트가 기어박스를 가로질러 테일기어쪽에서 E클립으로 고정되다보니
기어박스를 열려면, 전부 들어내야 하더군요. 역시 FR계열의 정비성은 ^^;;;
'Drift RC > MST FRX 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T FRX RS 조립기 (3/3) (0) | 2024.11.16 |
---|---|
MST FRX RS 조립기 (2/3) (0) | 2024.11.12 |
MST FRX RS 도착!! (1) | 2024.11.07 |
MST FRX RS 출시!! (0) | 2024.10.26 |
2024년 10월에 출시 예정인 MST FRX RS 주행영상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