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X RS에 옵션은 딱 기본만 하고 안하려고 하였으나...
배터리를 상단으로 올린 지인 FRX의 느낌이 좋았고,
좀 더 하중을 사용하여 주행하기 위해서 상단 배터리 레이아웃을 위한 옵션들을 구입했습니다.
구입한 부품들 입니다.
[210713] FRX alum. rear battery mount connecter
[210716] FRX alum. battery & servo mounting plate
[210718] FRX high center of gravity carbon battery mount

교체는 기존 수지 부품을 떼어내고 알루미늄과 카본 부품을 조립하면 되는 간단 작업입니다만,
High center of gravity carbon battery mount를 장착하기 위해 변속기를 조금 더 뒤쪽으로 옮겨야 했습니다.

모터선과 전원선이 변속기에 90°로 납땜되어 있어서 High center of gravity carbon battery mount 아래쪽 공간으로 지나갈 수 있었습니다.

상단 배터리 작업이 완료된 모습입니다.
(-)선이 조금만 더 짧았다면 배선작업을 다시 할 뻔 했습니다. ^^


추가로 Steering arm mount 옵션도 달았습니다. 아래 사진의 부품입니다.
[210720] MST Alum. Steering arm mount

사실 킷을 청소하다가 약간 기울어진 스티어링 암 마운트를 보고 지속적인 힘을 받아 휘어졌다고 생각하여 알루미늄 옵션을 구입한건데,
알루미늄 옵션도 기울어져 있더군요 ^^;
아마도 캐스터로 인해 조향시 발생하는 스티어링 암의 길이 변화를 보정하려고 스티어링 마운트를 기울여둔 것 같습니다... ㅎㅎㅎ
아무튼 샀으니 달아야죠~

스티어링 암 마운트의 교체도 간단합니다.
좌우 너클에 연결된 볼엔드, 서보와 연결된 길다란 턴버클의 볼엔드를 빼고
섀시 하단의 스티어링 암 마운트 고정볼트 3개를 풀면 스티어링 뭉치가 옆으로 빠져 나옵니다.

마운트를 알루미늄 옵션 부품으로 교체하고 다시 장착한 모습입니다.
옵션 부품이 늘어나니 기분은 좋습니다~

구입한 옵션들의 장착이 완료되어 코너 웨이트도 다시 측정하였더니 섀시에서 약 33g 정도가 증가되었습니다.
섀시만 재보면, 앞 뒤 무게 밸런스가 41:59로 뒤쪽으로 1% 이동되었습니다.


배터리를 꼽고 재보면,
앞 뒤 무게 밸런스가 37:63으로 역시 뒤로 1% 이동되었습니다.


바디까지 얹고 쟀을 때는 2% 정도의 밸런스가 뒤로 이동되어 36:64가 되었습니다.
(롤케이지는 무게가 7g 정도인데 왜 섀시만 잴 때 보다 20g 정도 차이가 생긴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상단 배터리 적용시 MST GR86RB 바디와의 공간은 이정도 입니다.



최종적으로 뒤쪽으로 약간 더 무거워져서 리어 쇽 스프링 텐셔너를 조금 조여야 했습니다만,
전 후 무게 배분 변화에 따른 리어 트랙션의 향상과
배터리의 높이 변화에 따른 무게 중심의 상승으로 롤 발생 시 좌우 타이어에 가해지는 무게의 증가를 기대해 봅니다.
'Drift RC > MST FRX 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T FRX RS RDS.L 스프링으로 교체 (0) | 2025.03.26 |
---|---|
FRX / FR-D 드리프트 섀시의 종감속비(FDR) 계산법 (0) | 2025.03.18 |
MST FRX RS 알루미늄 모터마운트, 어퍼데크 어뎁터 교체 (0) | 2025.03.12 |
MST FRX RS에 알루미늄 Tail Gear 옵션 장착 (0) | 2025.01.10 |
MST FRX RS 카본 섀시로 변경 (0) | 2025.01.02 |